마르크스와 베버의 경제학

 

마르크스와 베버의 경제학 개념을 알아보고 향후 어떤 지식이 널리 퍼졌는지 알아보겠다.

마르크스의 경제학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사람이었는데, 1848년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함께 공산당 선언을 발표한 이래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영국으로 망명한 후 고전경제학 연구에 몰두하여 이를 비판하는 자본론을 저술하였다.

마르크스는 그의 저서 자본론에서 자본주의를 생산과정에서 생산의 사적 관계에 기초하여 생산물이 소유되고 통제되는 생산양식이라고 정의하였다. 마르크스의 역사 유물론은 역사 속에 존재하는 생산양식들이 자기모순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붕괴하였다고 주장하였고, 자본주의는 이러한 역사적 생산양식 중 하나이다. 마르크스는 이 정의에 의해 자본주의 체제에 존재하는 계급이 생산 수단의 소유에 기초하여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트로 나누어 졌다고 보았다. 마르크스는 자유는 재산권의 자유만을 의미하며, 노동자가 일하지 않으면 굶어 죽는 것만이 자유롭다는 고전경제학의 주장을 신랄하게 비판하였고, 잉여인구는 자본주의 유지에 필수적인 잉여노동(값싼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산업예비군)에 불과하다는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의 인구학을 비판하였다.

고전경제학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은 흔히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정부의 보이지 않는 주먹에 의해 유지된다라는 구절로 요약된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은 마르크스의 주장에 기초한 경제학으로 주요 논점은 화폐, 가치, 독점, 생산관계, 자본주의 위상 이론 등이며, 루이 알튀세르와 같은 학자들이 널리 알려졌다.

베버의 경제학

사회 과학의 일부 영역은 시장과 교환이 생산보다는 자본주의의 필수 요소라고 주장한 19세기 독일 사회 이론가 웨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베버는 자본주의가 길드장인과 수습공의 연합, 영주와 농노의 관계와 같은 노동 시스템에 기초한 자본주의 이전의 경제 시스템보다 더 큰 효율성과 더 높은 생산성을 달성하기 위한 기반으로 시장과의 교환을 꼽았다.

베버는 1904년에서 1905년 사이에 쓰인 그의 저서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가 전통적인 경제 활동의 면모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이 책에서 베버는 전통적인 경제 체제에 대한 자본주의적 교류와 현대 자본주의의 발전 원인으로 합리성의 정신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정신은 점차 사회 전반, 법률, 임금노동의 자유 등으로 확산하여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노동자의 생활에서 집과 작업장이 분리됨으로써). 따라서 베버는 마르크스와 달리 자본주의의 형성은 생산수단의 변화가 아니라 정치문화적 영역에서 새로운 정신으로 무장한 기업가의 출현이었다고 주장한다.

베버에게 있어서 자본주의는 인류 역사상 가장 발달한 경제체제였으며, 이 때문에 사회주의에 반대하였고, 베버는 관료주의와 기업 등 현대사회의 특징이 자본주의의 발달로 정리되었다고 평가하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