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금융권과 2금융권 순위와 특징을 통해 은행 상품 이용할 때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은행별 장단점도 반드시 확인해 보세요.
금융권 구분하는 기준
금융권은 1, 2, 3으로 구분되는데 각각에 따라 주요 역할이 존재합니다.
- 1금융권: 주요 상업은행과 중앙은행
- 2금융권: 증권, 보험, 카드사 등의 금융기관
- 3금융권: 1, 2금융권 외의 대부업체와 같은 사기업
향후 대출을 받더라도 3금융권에 속하는 대부업체는 웬만하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쉬운 대출심사 대신에 고금리의 이자를 납부해야 하기 때문이죠.
1금융권 순위와 특징
1금융권은 익숙한 은행 대부분이 속해있습니다. 통화를 발행하는 한국은행도 1금융권에 속할 만큼 규모가 큰 은행의 집합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한국은행
- 국민은행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기업은행
- 외환은행
2금융권 순위와 특징
2금융권에 포함되는 증권사, 저축은행은 자본시장에서 주로 활동하며 주식이나 증권시장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1금융권보다 다소 위험하지만 고수익의 상품을 운영하기도 합니다.
- 삼성증권
- 미래에셋대우
- 신한금융투자
- 그 외 저축은행
혜택 좋은 금융권
1금융권과 2금융권을 비교하는 이유는 더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률을 나에게 가져다줄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기 위함입니다.
1금융권 | 2금융권 | |
대출 금리 | 낮음 | 높음 |
대출 한도 | 높음 | 낮음 |
예금보호한도 | 5천만 원 | 금융권에 따라 상이함 |
대출 금리와 한도는 상대적인 수치입니다. 소득이 높고 신용등급이 좋다면 1금융권 대출을 이용하겠지만, 부결된 경우에는 2금융권 상품을 이용해야 합니다.
예적금 상품을 비교하면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의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만 예금보호한도가 5천만 원으로 설정된 2금융권인지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1금융권, 2금융권 장단점
예적금을 기준으로 본다면 별도의 가입 기준이 없는 경우에는 1금융권 상품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2금융권의 예금보호한도가 존재하는 상품을 가입하면 됩니다.
대출을 기준으로 본다면 2금융권 상품이 한도가 높고 승인률이 좋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지만, 대출 금리가 높아서 이자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 단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