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정기검사 기간 비용 과태료 총정리

 

요즘은 한 가구당 2대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해도 어색하지 않습니다. 자동차가 늘어나면서 정기검사 차량 수도 증가하게 되었는데요. 검사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60만 원의 과태료와 운행정지 처분이 내려질 수 있으니 잊지 마시고 주기적으로 정기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자동차 정기검사

자동차 정기검사는 운행하는 자동차의 컨디션이 적절한지 체크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스로 자동차 점검을 한다고 해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놓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나중에 고장이나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 정기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과태료나 운행정지 처분을 내릴 정도로 중요한 검사이지만, 주기가 짧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잊어버리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을 통해 절대로 잊지 말고 정기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정기검사 항목

자동차 정기검사는 국가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진행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자동차 등록증 확인, 차량 안정성 확인, 배기가스 발생 확인, 조향장치 이상유무 확인, 튜닝여부 확인이 있습니다.

정기검사 유효기간

정기검사 유효기간은 신차와 신차가 아닌 차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 새롭게 자동차를 구매한 분들은 비교적 널널하게 정기검사를 받으셔도 됩니다.

 

대부분 비사업용 승용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을 테니 검사 유효기간은 2년일 것입니다. 그런데 신조차인 경우 4년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즉, 최초로 차량을 구매해 운행 중이며 신규 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4년 후에 최초로 정기검사를 받게 됩니다. 최초 정기검사를 받은 이후에는 일반 차량과 동일하게 2년 주기로 검사를 받게 됩니다.

자동차-정기검사-기간

택시와 같은 사업용 승용자동차는 신조차인 경우 2년, 그 이후로는 1년마다 정기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사업용으로 운행하는 자동차는 주행거리가 많고 소모품의 내구도가 빨리 닳기 때문에 짧은 기간의 유효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형 화물차, 대형 승합차는 택시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정기검사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자동차 정기검사 비용

자동차 정기검사 비용은 차량 크기와 공업사 급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 고급 인력이 상주하는 1급 공업사에서 정기검사를 받게 되면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분경형소형중형대형
정기검사17,000원23,000원26,500원29,000원

정기검사 과태료

자동차 정기검사 기간이 다가오면 검사 안내장을 전달받게 됩니다. 간혹 안내장을 전달받지 못해서 정기검사를 미이행하고 30~60만 원의 과태료를 받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요. 검사 안내장은 의무가 아닌 서비스 차원에서 발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내장을 받지 못했어도 정기검사는 진행하는 것이 맞습니다.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MYCAR 서비스에서 차량 번호만 입력하면 남은 정기검사 기간을 알 수 있습니다. 보증기간이나 리콜정보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으니, 반드시 미리 확인해서 과태료를 납부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