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세대별 차이점을 알고 있다면 적절한 보험 선택, 보험료 절감이라는 큰 이득을 가질 수 있습니다.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했습니다.
세대별 차이를 알아야 하는 이유
일반적으로 보험은 세대가 오래될수록 보장 내용이 좋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마지막 세대의 보험이 나에게 더 잘 맞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 보험을 해지하고 새롭게 가입해야 하는데요. 중요한 것은 세대별 차이를 알아야 이러한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손보험 세대별 차이를 안다면 보험료를 아끼거나 나에게 가장 적합한 보험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실손보험 세대별 차이점
실손보험은 1세대부터 4세대까지 구분되는데 동시에 두 가지 보험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1세대에서 부족한 점을 4세대에서 보장하더라도 동시 가입이 불가능한 것이죠.
1세대부터 4세대까지 실손보험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1세대(~2009년) : 폭넓은 보장, 낮은 자기부담금, 보험료가 낮음
- 2세대(~2017년 3월) : 자기부담금 도입으로 보험료가 1세대에 비해 증가
- 3세대(~2021년 6월) : 기본형과 특약형으로 나눠지며 비급여 항목 선택 가능
- 4세대(~현재) : 급여와 비급여를 구분할 수 있으며, 자기부담금이 증가함에 따라 선택적 보장이 가능
세대별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기본적인 용어는 반드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보장범위 : 보험을 적용받을 수 있는 범위
- 자기부담금 : 보험 적용 시에 보험료 외에 내가 직접 납부하는 금액
- 갱신 주기 : 보험을 보장받기 위해 주기적으로 계약을 갱신
구분 |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보장범위 | 입원 통원 약제비 | 입원 통원 약제비 | 입원 통원 약제비 + 특약 | 급여 비급여 구분 |
자기부담금 | 거의 없음 | 10~20% | 10~30% | 20~30% |
갱신주기 | 1년 또는 3년 | 1년 | 1년 | 5년 |
보험료 | 저렴 | 1세대보다 증가 | 2세대와 비슷 | 비급여에 따라 다름 |
실손보험 세대별 특징
실손보험 세대별 차이점을 알아봤다면 이제 특징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지금 1세대 보험에 가입중인데 4세대 보험의 특징이 나와 잘 맞는다면 보험을 갈아타야 하기 때문입니다.
1세대 특징
1세대는 실손보험이 최초로 시작되었으므로 보장 범위가 넓습니다. 또한 자기부담금도 적어서 금전적 부담이 없습니다.
하지만 보장 범위가 넓다는 것은 보험사의 지출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보험료가 지속해서 인상될 수 있습니다.
2세대 특징
2세대 실손보험은 자기부담금이 도입된 세대입니다. 보험사에서 대부분 보장하지만 무분별한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금액의 10% 수준을 내가 납부하게 됩니다.
자기부담금 도입으로 보험사는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보험료 인상폭도 1세대에 비해 줄어들게 됩니다.
3세대 특징
자기부담금 도입에도 여전히 실손보험을 남용하는 사람들이 생기자 기본형과 특약형으로 구분을 시작합니다. 또한 일부 항목은 자기부담금을 30%까지 증가시키게 됩니다.
하지만 비급여 항목을 보장받아야 하는 사람이라면 3세대에서는 선택적 가입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되었습니다.
4세대 특징
비급여 항목을 특약으로 구분하여 가입자가 반드시 필요한 보장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보험료는 저렴해졌습니다.
나에게 맞는 실손보험 선택하기
4세대 실손보험이 급여 항목과 비급여 항목으로 나눠지면서 급여 항목만 보장받는다면 과거 세대보다 보험료가 저렴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비급여 항목을 연간 100만 원 이상 보장받는다면 보험료가 최대 300%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결국 나에게 맞는 실손보험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이용 패턴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급여 항목마저도 보장받는 횟수가 적다면 4세로 갈아타서 보험료를 절약하시면 됩니다. 반면 연령대가 60대 이상이라면 어떤 일이 발생할지 모르니 지금의 실손보험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실손보험 같이보면 유용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