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에 가입한 사람은 우리나라 전체의 60%가 넘습니다. 건강보험과 차이점을 알지 못한다면 실손보험 가입을 망설일 수도 있으니 해당 포스팅을 끝까지 확인해 주세요. 몸이 아플 때에 여러분의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실손보험 건강보험 차이점
실손보험은 제2의 건강보험이라고 부를 만큼 건강보험이 보장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장해줍니다.
건강보험 | 실손보험 |
반드시 가입해야하는 보험 | 선택적으로 가입하는 보험 |
재산이나 소득에 따라 납부금액 결정 | 보장범위와 같은 계약 내용에 따라 결정 |
급여비용 중 공단부담금을 보장 | 급여비용 중 본인부담금과 비급여진료비 대부분을 보장 |
실손보험 보장 금액
실손보험에 가입하면 비급여항목 대부분을 보장해주는 것이 실제 체감이 안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을 때, 보장되는 금액을 확인해 보세요.
총 10만 원의 치료비용이 발생되었고 급여 항목이 6만 원이고 비급여 항목이 4만 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실손보험에 미가입한 경우라면 빨간색 배경과 같이 급여 항목에서 1만 원과 비급여 항목 전부인 4만 원을 합산한 6만 원을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 급여 항목에서 건강보험이 보장해주는 금액을 제외하니 1만 원이 본인 부담금으로 남게 되었음
반면, 실손보험에 가입한 경우라면 노란색 배경과 같이 급여 항목에서 2천 원과 비급여 항목에서 비급여 항목에서 8천 원을 합산한 1만 원을 본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 급여 항목에서 건강보험이 보장해주는 금액을 제외한 1만 원에서 실손보험이 보장을 해주기 때문에 본인 부담금이 2천 원으로 남게 되었음
즉, 실손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병원에 납부할 금액이 5만 원이나 차이 나게 됩니다.
- 실손보험에 미가입된 경우라면 급여 항목의 공단부담금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인이 납부
- 실손보험에 가입된 경우라면 급여 항목의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항목을 합산한 금액의 10% 또는 20%만 본인이 납부
실손보험 건강보험 가격
실손보험은 개인 자산이나 소득에 따라 부과하는 건강보험과 다르게 보장 범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특히 고소득자의 경우에는 건강보험료를 많이 납부하지만 병원에서 보장받는 금액은 저소득층과 크게 다를 바 없습니다. 반면 실손보험은 보험사마다 보장 내용에 차이가 거의 없으며 매월 1~2만 원만 납부하면 누구나 동일하게 보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건강보험처럼 강제성을 가지는 사회적 보험 제도가 필요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건강보험보다 실손보험 가격이 조금 더 합리적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실손보험 중복 가입 시
실손보험 월 납입 금액이 저렴하더라도 중복으로 가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두 개의 실손보험에 가입해도 의료비의 2배를 보장받을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실손보험에 중복 가입 시에는 보험료만 두 배로 나가고 이중으로 보상은 받을 수 없으니 손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