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급여 신청 조건 및 혜택 총정리 (최신 버전)

 

안녕하세요.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최근 부모급여의 혜택이 더욱 좋아졌습니다. 신청 조건을 참고하셔서 반드시 월 100만 원의 혜택을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원스톱 출산지원 서비스

출산 후에 부모급여를 포함한 출산지원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원스톱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는 아래와 같으니 각 서비스를 한 번씩 확인해 보세요.

이 외에도 출산 후 이용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 첫만남 이용권, 신생아 특례대출, 국민행복카드 바우처가 있습니다.

출산지원서비스-통합신청-전국-지자체

부모급여 지원금 혜택

부모급여 지원금 혜택이 24년도부터 더욱 많아졌습니다. 23년도까지는 0세인 경우 70만 원을 지원했으며, 1세는 35만 원을 지원했었는데요.

24년도부터는 아래와 같이 지원금 혜택이 증가했습니다.

  • 0세(~11개월) 영아 : 월 100만 원
  • 1세(~23개월) 영아 : 월 50만 원

지원금 지급

부모급여 지원금은 부모 또는 아이 명의의 계좌로 입금됩니다. 또한 기존에 부모급여를 지원받고 있었다면 24년도부터는 인상된 금액으로 받게 됩니다.

또한 지원금 지급 시기는 매월 25일이며, 25일이 주말이면 직전 평일에 입금됩니다. (월급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린이집 이용 시

영아가 어린이집을 이용 중이라면 부모급여를 보육료 바우처로 지원하고 잔액에 대해서 통장에 입금됩니다.

예를 들어 0세 아이 기준으로 54만 원의 보육료 바우처를 지원받고 잔액인 46만 원을 현금으로 받게 됩니다.

1세 아이 기준으로는 47만 5천 원을 보육료 바우처로 지원받고 2만 5천 원을 현금으로 받게 됩니다.

부모급여 지원금 신청 조건

정부 지원금은 대부분은 차상위계층 등의 조건이 존재하지만, 부모급여 지원금은 별도 조건은 없습니다. 그러니 출산 후에 반드시 신청해야 하는 혜택 중 하나인데요.

단, 출산 후 출생일을 포함해 60일 이내에 신청하셔야만 합니다. 만약 60일을 초과한 후에 신청했다면 신청일을 포함한 월 기준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늦게 신청하면 최소 2개월을 손해 볼 수 있으니 반드시 잊지 말고 신청하세요.

부모급여 신청 방법

부모급여는 전국 주민센터 어디서든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신청 방법으로는 복지로 또는 정부24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반드시 친부모만 신청 가능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