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ATM 기에서 현금을 넣어 무통장 입금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앱을 통한 직접 입금도 가능해졌습니다. 일일 한도를 확인하시고 한도 초과가 예상되는 경우 다른 방법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무통장 입금하는 방법
무통장 입금은 통장 정보가 없어도 개인정보를 입력해서 상대방에게 돈을 입금할 수 있는 방식을 뜻합니다. 요즘 이용하는 카카오페이, 토스 송금이 무통장 입금에서 진화된 서비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ATM 이용하기
무통장 입금을 가장 편리하게 하는 방법은 주변 은행의 ATM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대신 거래하려는 은행의 ATM만 사용해야 하며, 화면에서 ‘무통장 입금’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상대방의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현금을 투입하면 무통장 입금이 완료됩니다.
반면 편의점에 설치된 24시간 ATM은 타 은행에도 송금이 가능한 모델이 있으나 수수료가 비싼 편입니다.
ATM 한도
ATM을 활용한 무통장 입금 한도는 1일 100만 원입니다. 100만 원 이상을 보내려면 체크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은행 창구 이용하기
가까운 은행 창구로 들어가 은행원에게 무통장 입금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다른 은행 통장으로 입금할 수 있으며, 신분증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은행 창구에 대기손님이 많은 경우에는 오랜 시간 기다릴 수 있으며, 은행 창구 영업시간이 넘어가면 이용할 수 없습니다.
앱 이용하기
토스나 카카오페이와 같은 앱을 통해 무통장 입금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 방식처럼 현금을 직접 보내는 방식은 아니고 연결된 통장에서 돈을 가져와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톡 친구만 추가되어 있으면 카카오페이에 연결된 통장에서 돈을 가져와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습니다. 이때, 계좌번호가 필요 없이 카카오톡 알림으로 상대방은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 시 수수료
무통장 입금 시 ATM을 이용할 경우 1회 당 1,000원에서 1,500원 정도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즉 5만 원을 입금하려면 넉넉하게 5만 2천원을 현금으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단, 보내는 통장의 은행과 동일한 은행ATM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 수수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