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원 정책 대상자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나의 중위소득을 확인하고 기준 중위소득의 가중치를 적용시킨 값이 얼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비율 별 기준 중위소득 값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으니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기준 중위소득
정부에서는 국민들의 소득 수준을 나열해 중간 값을 산출합니다. 이것을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하는데, 가구 수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 값은 다르게 산출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 산정되면 정부의 저소득층 지원사업 대상자를 선정할 때 기준 중위소득에 가중치를 적용시킨 값보다 이하라는 조건을 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지원사업은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여야 한다라고 가정해보면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에 30%를 곱한 값보다 나의 중위소득이 낮아야 합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매년 기준 중위소득은 증가하기 때문에 가구별 2023년 중위소득을 별도로 정리했습니다.
- 1인 가구 2,077,892원
- 2인 가구 3,456,155원
- 3인 가구 4,434,816원
- 4인 가구 5,400,964원
- 5인 가구 6,330,688원
- 6인 가구 7,227,981원
2022년 대비해서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약 5.5% 증가했으며 아래 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확인 방법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모의 계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수치를 실제와 다르게 입력하면 이에 따른 결과도 다르게 나올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가구원수, 거주지 등의 기본정보와 소득재산정보를 입력하고 의료급여정보를 선택한 후에 하단에 결과보기를 클릭하세요. 입력한 자료 기반으로 소득인정액과 중위소득 몇 퍼센트 이하인지 표시됩니다.

중위소득 50%
지원사업 : 기초생활, 차상위, 국민취업제도
- 1인 가구 1,038,946원
- 2인 가구 1,728,078원
- 3인 가구 2,217,408원
- 4인 가구 2,700,482원
중위소득 60%
지원사업 : 한부모, 조손가족급여, 취성패, 국민취업, 청년월세
- 1인 가구 1,246,735원
- 2인 가구 2,073,693원
- 3인 가구 2,660,890원
- 4인 가구 3,240,578원
중위소득 65%
지원사업 : 청소년 한부모 급여
- 1인 가구 1,350,630원
- 2인 가구 2,246,501원
- 3인 가구 2,882,630원
- 4인 가구 3,510,627원
중위소득 80%
- 1인 가구 1,662,314원
- 2인 가구 2,764,924원
- 3인 가구 3,547,853원
- 4인 가구 4,320,771원
중위소득 100%
지원사업 : 중장년 취성패, 재난적 의료비
- 1인 가구 2,077,892원
- 2인 가구 3,456,155원
- 3인 가구 4,434,816원
- 4인 가구 5,400,964원
중위소득 120%
지원사업 : 청년국민취업
- 1인 가구 2,493,470원
- 2인 가구 4,147,386원
- 3인 가구 5,321,779원
- 4인 가구 6,481,157원
중위소득 150%
지원사업 :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 수당
- 1인 가구 : 3,116,838원
- 2인 가구 : 5,184,233원
- 3인 가구 : 6,652,224원
- 4인 가구 : 8,104,446원